UPDATED. 2024-04-20 23:40 (토)
 실시간뉴스
뒷목이 당기면, 뇌졸중 전조증상?
뒷목이 당기면, 뇌졸중 전조증상?
  • 이시종 기자
  • 승인 2014.09.16 23: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잘못 알고 있는 뇌졸중 상식

 
뇌에 혈액(산소,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손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병으로 국내 사망률 1위인 뇌졸중. 흔히 ‘중풍’이라고 알고 있는 이 질병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뇌졸중센터 안재근 교수에게 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뇌졸중에 대한 상식을 들어본다.

글 안재근 가톨릭대학교 교수 일러스트 | 매거진플러스 DB

뇌졸중은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병이므로 피할 수 없다?

흔히 뇌졸중을 노인병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혈관 노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45세 이후에 환자 발생이 급증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뇌졸중은 위험인자에 의해 이차적으로 생 기는 병이다. 위험인자란 뇌줄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변이나 요인들을 통틀어 가리 키는 말로써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비만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습관의 오랜 변화와 운동부족에 의해 젊은 층의 뇌졸중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평소에 이러한 위험인자를 예방하고 잘 치료한다면 뇌졸중의 발생은 피할 수 있다. 또한 운동과 올바른 식사습관으로 건강을 유지한다면 뇌졸중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 뇌졸중은 한 번 발생하면 대부분 심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그 예방이 중요한데, 정기적인 뇌졸중 검사 (CT, MRI, MRA 등)를 시행하여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고 그 병변을 예방적으로 치료하여 뇌졸중이 발생하기 전에 조기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뒷목이 당기면, 뇌졸중 전조 증상이다?

뒷목이 당기는 증상은 일반적으로 후두부 근육의 경직에 따른 긴장성 두통인 경우가 대 다수다.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으면 혈압이 상승하고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면서 양쪽 어깨 근육과 목 근육이 수축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뒷목이 뻐근하고 두통이 발생하게 되는 것 이다. 따라서 뒷목이 당기며 아픈 증상은 뇌졸중 전조 증상과는 무관하다. 만성두통의 경 우도 뇌졸중과 관계가 없다. 하지만 아주 심한 두통이 갑작스럽게 생기면 출혈성 뇌졸중 의 증상일 수 있다.
뇌졸중의 전조 증상은 갑자기 신경학적 이상이 발생했다가 몇 시간 만에 사라지는 것이 다. 예를 들어 입 주위의 감각 변화, 한 쪽 몸에 힘이 빠진다던가, 갑자기 시야가 흐려지거 나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 심한 어지럼증 등이 뇌졸중의 전조증상이다. 이러한 전조증상 은 있을 수도 있고 전조 증상 없이 곧장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즉각 병원에 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뇌졸중은 겨울에만 주의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뇌졸중하면 겨울에 많이 생기는 것으로 인식한다. 겨울은 실내 실외의 온도 차가 크기 때문에 실내에 있다가 실외로 나오면서 온도차에 대한 몸의 부적응으로 인해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도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출혈성 뇌졸중의 발생 빈도가 높다. 하지만 현대적 생활환경에서 여름철 뇌졸중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여름철 에는 기온이나 기압의 변화가 심하고, 활동량이 증가하고 땀으로 인한 수분 손실이 증가 하고 체력 손실이 많아 심혈관계의 이상이 발생하기 쉬울 수 있다. 이로 인해 뇌혈관의 자 동 조절 능력이 감소하고 급격한 뇌혈류 변화가 유발돼 뇌졸중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여름철이라고 뇌졸중에 대한 주의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신체 마비 증상은 한번 생기면 회복되지 않는다?

대부분은 회복되지 못한다. 그러나 매우 심한 마비 증상의 경우가 그렇고 가볍게 마비가 온 경우는 재활치료를 통하여 상당히 호전될 수 있다. 뇌는 운동, 감각 및 고도의 정신작 용, 사고나 인지, 언어, 호흡, 배뇨 및 배변 조절 등의 기능을 담당하므로 뇌졸중으로 뇌의 손상을 초래하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편측마비나 사지마비, 언어장애, 인지장애, 대소변장애, 우울증, 연하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때문에 회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초기에 재활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글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뇌졸중센터장 안재근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교실 교수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전문분야 : 뇌혈관질환, 말초신경질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