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10 (금)
 실시간뉴스
'생존 장기기증자' 3만여명 추적·관리 전무 ... 첫 전수조사 실시
'생존 장기기증자' 3만여명 추적·관리 전무 ... 첫 전수조사 실시
  • 김정현 기자
  • 승인 2019.10.22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살아있는 상태에서 장기를 기증한 생존 장기기증자에 대한 사후관리와 지원이 전무하다는 지적이 잇따르는 가운데 '생존 장기기증자' 3만여명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정부 차원의 첫 전수조사가 이뤄진다.

2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살아있는 장기기증자 및 이식자들의 전반적 임상경과 평가' 연구를 시작했다. 전수조사 대상은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하 장기이식법)을 시행한 2000년 2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집계한 생존 장기기증자 3만1378명이다. 이는 전체 장기기증자의 82%를 차지한다.

이 연구는 생존 장기기증자 병력과 수술 후 진료, 후유증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약 3개월 동안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건강한 일반인과 비교해 생존 장기기증자들이 대사성 질환이나 다른 병에 걸린 적이 없는지 파악하는 형태다. 간부전 등 장기 기증에 따른 후유증도 살펴본다.

우리나라는 장기 기증을 생존 장기기증자에게 크게 의존하는 실정이다. 장기이식법 시행 이후 뇌사기증자와 심장사기증자는 각각 5438명, 1376명이었다. 이는 생존 장기기증자와 비교해 각각 6분의 1, 2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생존 장기기증자에 대한 사후관리와 지원이 전무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국내 생존 장기기증자 10명 중 9명은 친족에게 장기를 기증하는 '지정기증자'로 조사되고 있다. '지정기증자'는 이식수술 후 1년간 검진비를 지원하는 대상에서도 빠진다. 반면 뇌사기증자가 장례와 진료비 용도로 최대 540만원을 지원받는다.

생존 장기기증자가 수술 후 후유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있지만, 이를 추적·관리할 법적 근거가 없다. 미국은 장기이식 기증자 건강 상태를 수술 후 2년간 추적·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뇌사기증자 등에 비해 생존 장기기증자 비율이 훨씬 높다"며 "이들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방식 등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Queen 김정현 기자] 사진 뉴스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