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21:40 (토)
 실시간뉴스
해양바이오시장 2030년까지 1.2조원으로 확대…최고기술국 85% 수준 기술 확보
해양바이오시장 2030년까지 1.2조원으로 확대…최고기술국 85% 수준 기술 확보
  • 류정현 기자
  • 승인 2021.01.14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바이오 산업 활성화 기본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해양수산부 제공)

정부가 2030년까지 현재 5000억원 수준인 국내 해양바이오시장 규모를 1조2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최고기술국 대비 78.6%에서 85% 수준까지 해양바이오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또 수입의존 비율도 70%에서 50%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할 주요 과제를 담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마련해 14일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보고했다고 밝혔다.

해양바이오는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분야로, 현재는 전 세계 약 33만 종의 해양생물 중 1% 정도만 바이오 소재로 이용되고 있어 향후바이오 신소재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해양생물자원을 확보하고 해양바이오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원을 확대하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 해양바이오시장은 약 5000억 원 규모에 불과하며, 390개 관련 기업도 대부분이 영세기업으로 사업화 성과 창출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를 통해 국가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세계 해양바이오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10년간의 계획을 담은 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기업 애로사항 해소 위한 단계별 제품화 지원 △핵심기술 위주의 전략적 연구개발(R&D) 투자 및 사업화 연계 강화 등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해양바이오시장 규모 1조2000억 원으로 확대 △최고기술국 대비 85% 수준의 해양바이오기술 확보 △소재 수입의존도 완화(70%→50%)를 목표로 산업기반 조성과 해양바이오 연구개발(R&D) 혁신 전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산업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먼저 해양바이오뱅크를 통해 해양생물이 갖는 주요 효능 정보를 등급화하고, 무상 소재분양 등으로 기업들의 산업화소재 발굴을 지원하기로 했다. 수요가 많은 소재는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실증시험장과 해양소재에 특화된 생산시설을 구축해 제품화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사업화에 실패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산업화 단계별 지원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해 규제를 정비하고, 인‧허가 절차와 자료 작성법 등을 종합적으로 안내하는 지침을 마련해 배포하기로 했다.

또 창업기업 기술 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전문인력을 양성,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국제인증 획득 컨설팅 및 소요 비용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해양바이오 소재가 건강식품, 화장품 등으로 제품화되는 데 걸림돌이 되었던 해양생물 특유의 점성, 냄새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체내 흡수를 높이기 위한 제형화 기술 개발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해역별 특성에 맞춰 해양바이오 특성화거점을 조성하고, 지역 중심의 인프라 연계와 성과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해권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 중심 기업 사업화 과정 전반 지원 및 2025년 인천항 배후부지 해양바이오 특화단지 지정  △남해권 바이오 소재 생산시설 구축 및 소재 공급기지로 개발 △동해권 기초 및 융복합 연구 거점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이와 관해 충청남도는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 내 기업 입주 등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바이오협회와 협력방안을 논의 중이며, 전라남도는 해조류 기반 소재 생산시설 구축과 관련된 실무 자문과 장비 공유 등을 위해 프라임제약 등 바이오기업과 협력할 계획이다.

연구개발(R&D) 혁신을 위해서는 수요자의 연구개발(R&D) 참여와 전문가 그룹 간 연계를 강화해 우수한 연구 성과가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공동연구로 전문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연구개발(R&D) 기획 단계부터 기업 등 수요자의 참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식품기업과 제약․바이오기업 간 컨소시엄으로 식품원료 분야의 연구 성과를 활용해 보건·의료 분야 기술을 개발하는 상생형 연구개발(R&D) 체계도 도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존 화학제품을 대체하는 신소재나 해조류를 활용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어구 등을 개발하고, 유해 플랑크톤을 억제할 수 있는 해양미생물 소재를 연구하는 등 해양환경 개선 소재를 집중 개발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양식생물 디지털육종기술 개발, 인공 참치 등 대체 수산물과 3D 푸드 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수산식품 등 부가가치가 높은 식품가공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고령화 시대에 맞춘 웰에이징․항노화 소재 개발, 해양치유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헬스케어제품 개발 등 새로운 산업소재 발굴을 위한 투자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해양바이오 분야 연구 및 산업현장의 애로사항을 중점적으로 해소해 기업 및 연구자의 진입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해양생물을 활용한 새로운 소재와 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향후 세계 해양바이오시장을 선도할 가시적인 성과 창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성혁 장관은 "홍합 단백질의 접착성분을 이용해 흉터없이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를 개발하는 등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도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며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Queen 류정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