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45 (금)
 실시간뉴스
김용범 차관 “스마트기술 도입 소상공인에 최대 500만원 지원”
김용범 차관 “스마트기술 도입 소상공인에 최대 500만원 지원”
  • 류정현 기자
  • 승인 2021.03.03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부담비율 소상공인 30%·중기 50%로 설계 기재차관 "서비스업 30만일자리 중장기정책…구체화 안돼"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정례 브리핑에 참석하고 있다. / 사진 = 뉴스1

정부가 주문결제 '스마트 오더' 등 스마트기술을 도입하는 소상공인에게 최대 500만원을,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중소기업에는 최대 6000만원을 지원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정례브리핑 및 질의응답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이날 회의를 통해 2025년까지 중소영세상점 10만개, 중소기업 1350개사에 스마트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긴 '서비스산업발전 4+1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김 차관은 "상점 10만개는 대상이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 스마트기술을 도입한 소상공인"이라며 "주문결제에 스마트오더 등 몇 가지 스마트기술을 도입한 소상공인에게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하고 자부담 30%, 국비 70%로 설계했다"고 밝혔다.

로봇, 물류자동차 솔루션 등 중기부 지정 혁신솔루션을 도입한 중소기업에겐 최대 6000만원을 지원한다. 김 차관은 "자부담 50%, 국비 50%로 설계했다"고 언급했다.

김 차관은 2025년까지 서비스업 분야 일자리 30만개를 창출하는 것과 관련해선 "서비스산업 중장기 정책방향 제시에 중점을 둬 구체적으로 사업별, 연도별 중장기 재정계획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자리 30만개'는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을 1%포인트 높이면 1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가정 아래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재 62%정도인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을 65%까지 높인다는 목표다.

김 차관은 "서비스산업에 10억원당 약 12.8명의 서비스유발계수가 있고, 정보통신업, 금융·보험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등 유망서비스업 일자리 비중을 약 46.8%로 가정했다"며 "이를 전제로 부가가치 비중이 1%포인트 상승할 때 10만개 이상 숫자가 나오고, 2025년까지 3%포인트 상승하면 30만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서비스업 일자리가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일자리 감소가 없냐는 질의엔 "비대면 전환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여러 여건변화를 감안할 때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라며 "비대면 디지털화에 기반한 새 서비스사업을 활성화하고 기존 업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나가면 일자리 창출여력이 확대될 수 있겠다"고 봤다.

이와 함께 "단순고객 응대에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일자리로 서비스업종 내에서 일자리 수요전환을 성공적으로 유도하면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서비스 일자리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비대면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이직·전직 수요 발생엔 맞춤형 전직훈련 등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문화·숙박·외식·스포츠 서비스 등에서 '4+4' 바우처·쿠폰을 지원하는 것과 관련해선 "오프라인 사용은 방역당국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운영하는 게 기본 원칙"이라며 "방역상황과 관계없이 비대면 온라인 사용 확대를 지속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금년 예산분도 시스템 보완 등을 거쳐 조만간 사용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Queen 류정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