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5:40 (토)
 실시간뉴스
1~3월 아파트 거래량 8.4만 건→1.4만 건 '급감' ... 매매가격은 소폭 상승
1~3월 아파트 거래량 8.4만 건→1.4만 건 '급감' ... 매매가격은 소폭 상승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2.03.30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가는 주춤하고, 주택 거래량은 줄어드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매년 감소하던 아파트 입주물량은 올해 다시 늘 것으로 보이며, 청약 시장에선 양극화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30일 KB부동산 월간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전국 주택 평균 매매 가격은 0.1%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지난달 상승률(0.21%)의 절반 수준이고, 2020년 5월(0.14%)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계속되자 서울을 포함한 전국의 주택 매매·전셋값이 주춤해졌단 분석이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1~3월 최고가(직전의 최고 거래가격보다 크거나 같은 가격)를 경신한 전국 아파트 면적개수는 2만6946개에 달했지만, 올해 1~3월에는 6825개로 크게 줄었다.

서울은 5658개에서 599개로, 경기는 9338개에서 1460개로, 인천은 2215개에서 459개로 줄어드는 등 수도권의 급감이 눈에 띄었다.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호가가 오르기도 하지만 대출규제와 금리인상, 집값 고점인식 등으로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5년간 연도별 주택 거래량을 살펴보면 2017년 94만7104건에서 2018년 85만6219건, 2019년 80만5272건 등 소폭 감소하다가 2020년에는 127만9305건으로 많이 늘어나고, 2021년에도 101만5171건으로 100만건을 웃돈다.

반면 올해 주택 거래량은 4만1709건으로 집계됐다. 1월부터 이달까지 3개월만 반영된 수치지만, 월평균으로 계산해봐도 지난해 8만4598건에서 올해 1만3903건으로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에는 가격 상승 폭이 크게 둔화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 현실화하고 있다"며 "최고가 경신 면적개수가 크게 줄고 거래 동력도 떨어졌다"고 밝혔다.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도 커져 거래 침체가 이어질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6회 올릴 수 있다고 시사한 만큼 한국은행 또한 선제적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 국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내 연 7%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있다.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은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 2018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38만6542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하락세를 보였다. 다만 올해는 25만8756가구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1만6472가구)과 경기(8만3816가구), 인천(4만386가구) 등 수도권에 많은 물량이 예정됐다.

함 랩장은 "올해에는 입주물량이 늘어나 전세시장이 불안한 양상은 평년보다 덜한 모습이지만 청약시장에는 경쟁률 둔화, 미분양 증가, 양극화 현상 등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이 주춤하면서 청약 열기는 꾸준히 가라앉고 있다. 미분양과 청약 미달 사태가 속속 나오지만 거액의 시세 차익이 예상되는 '줍줍'(무순위 청약)에는 수요가 중점적으로 몰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는 5월 출범하는 윤석열정부의 주요 부동산 정책이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도 잘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앞서 윤석열 당선인은 △5년간 250만호 이상 공급 △재건축 정밀안전진단 기준 완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완화 △재산세와 종부세 통합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2년 한시 배제 △생애최초주택구입자 LTV(윤 당선인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80% 완화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함 랩장은 "새 정부가 5월 초에 출범하는 터라 250만호 공급 공약은 올 하반기부터 눈여겨봐야 한다 "당분간은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거래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뉴스1 2022 건설부동산포럼은 오는 31일 대한상의에서 열리며 온·오프라인으로 모두 참여할 수 있다. 이 자리에선 중대재해처벌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건설 현장의 실효성에 맞는 정책방안을 각계각층의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하는 시간도 마련한다.

 

[Queen 김정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