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7:15 (금)
 실시간뉴스
누리호 발사 성공 ... 1300조 '블루오션' 시장에 진입 
누리호 발사 성공 ... 1300조 '블루오션' 시장에 진입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2.06.21 1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2차 발사 예정일인 21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에 누리호 1단 발사체에 탑재된 75톤급 액체로켓엔진이 전시돼 있다. 2022.6.21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2차 발사 예정일인 21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에 누리호 1단 발사체에 탑재된 75톤급 액체로켓엔진이 전시돼 있다. 2022.6.21

우리나라 자체 기술로 개발,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발사에 성공하면서 누리호 개발에 참여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국내 300여개 기업들도 '블루오션'인 우주산업 시장 궤도에 진입했다.

이들 기업은 누리호 발사 성공을 자축하면서도 우주산업이라는 신산업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위성 발사 로드맵 구축 등 정부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후 5시 10분 브리핑을 통해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은 실용급(1톤 이상) 위성 발사에 성공한 7번째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2010년 개발이 시작된 누리호 사업에는 국내 총 300여개 업체가 참여했다. 2014년부터 누리호 사업에 참여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총조립과 1단 추진제 탱크 개발을 맡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는 '누리호의 심장'으로 불리는 엔진 및 엔진부품인 터보펌프, 밸브류 제작과 함께 엔진 전체 조립까지 담당했다.

현대중공업은 45m 규모의 한국형발사체 발사대 건립을 총괄했고 현대로템은 연소시험과 유지 보수를 맡았다. 이밖에도 한국화이바, 덕산넵코엇, 단암시스템즈, 기가알에프, 스페이스솔루션, 두원중공업, 이앤이 등이 각각 역할을 분담해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을 이끌었다.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국내 우주산업 기술력이 전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게 됐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우주발사체 국가 중 자국 기술력으로 첫 발사에서 성공한 확률이 27%에 불과하다"며 "이번 성공으로 자국의 위성과 우주발사체를 언제든지 발사할 수 있다는 영향력을 전세계에 알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누리호 개발에 참여한 업체들은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인정받은 기술력을 토대로 '블루오션'인 우주산업 분야 선두권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KAI는 올해 진행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에 주관기업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또 내년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에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해 우주발사체 제작 및 발사서비스 역량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발판으로 향후 2030년부터는 민간산업체 주도의 상용 우주발사체 제작 및 위성 발사서비스 시장에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에어로도 누리호 후속 사업에 계속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이번 발사 성공을 발판으로 2040년 1조1000억달러(132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우주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한화그룹 계열사들은 발사체 엔진, 위성체 제조, 고체부스터, 지상체 제작, 발사대 등을 중점 추진분야로 삼고 있다.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지만 우주산업을 우리의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아직 과제가 많이 남았다.

업계에서는 국가 주도의 '올드 스페이스'에서 민간주도의 '뉴 스페이스'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 아직 부족한 시장·투자 규모를 고려해 다양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수출입은행의 '위성산업 현황 및 국가별 지원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주요 국가별 우주예산 추정치는 미국이 518억1000만 달러이며 우리나라는 미국의 1.1% 수준인 5억8000만달러에 불과했다.

미국을 제외하더라도 우리나라는 중국(133억3600만 달러), 유럽연합(81억9000만 달러), 일본(31억 달러) 등 8개 선진국의 뒤를 쫓는 후발주자다.

보고서는 "위성활용 서비스, 위성 데이터 활용 등 신규기업 진입장벽이 낮은 분야에는 스타트업 설립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대기업 사내벤처·볼런터리 체인 등 민간투자자본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주산업 인프라 투자, M&A 자금 지원 등 기술력을 확보하는 방안과 국내기업 앞 수출자금 대출 및 보증과 해외기업 앞 구매자금 지원 등 수출을 촉진하는 방안 등 두 가지 방향으로 지원할 수 있다"고 했다.

업계 관계자도 "현재 민간산업체 단독으로는 중대형급 발사체를 이용한 발사 수요를 창출하기 어렵다"며 "정부 차원의 지속적 민간사업체에 대한 지원과, 발사 수요 창출을 위한 정부의 인공위성 발사 로드맵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Queen 김정현 기자] 사진 뉴스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