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30 00:40 (토)
 실시간뉴스
韓 성장률 '2.6%→ 2.0% 초반' 하향 불가피 ... 고환율에 하반기 취업자 증가폭 둔화
韓 성장률 '2.6%→ 2.0% 초반' 하향 불가피 ... 고환율에 하반기 취업자 증가폭 둔화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2.07.18 1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환위기 이후 첫 6%대 물가상승에 대응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며 하반기 경기하방 압력은 더 커질 전망이다.

여기다 달러·원 환율은 지난 15일 13년여 만에 장중 1320원을 돌파하는 등 고환율이 겹치고, 고용을 떠받쳐온 직접일자리 구조조정으로 하반기 취업자 증가폭도 둔화할 것으로 보여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은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인플레이션 여파에 세계경제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주요국의 올해 경제성장률도 또 한 번 곤두박질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이달 말께 발표할 한국의 올해 성장 전망치도 추가 하향조정될 전망이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2020년=100)로 1년 전보다 6% 뛰면서 1998년 11월(6.8%) 이후 23년여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우크라 사태로 고공행진하던 국제유가와 국제식량가격은 최근 소폭 하락하고 있지만, 정부는 "9~10월까진 불안 양상이 이어질 것"(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보고 있다.

추 부총리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한 기자간담회에서 "7~8% 물가가 상당기간 고정화되는 현상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치인 4.7%는 일부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소비자가 향후 1년간 예상하는 물가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이 4%에 육박하는데다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1%로 시장 예상을 뛰어넘었고, 여름 휴가철과 추석을 앞두고 성수품 수요가 증가하며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점 등 때문이다.

한은의 이번 빅스텝도 고물가가 고착화되며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쪼그라드는 상황을 일단 막으려는 데 방점이 찍혔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은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1.75%에서 2.25%로 올렸다.

문제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면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이고 경기가 가라앉을 수 있다는 점이다. 고물가 대응, 한미 기준금리 역전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도 큰 상황이다.


추 부총리도 17일(현지시간) 미국 CNBC방송 인터뷰에서 한국경제가 "아직 회복경로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면서도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이 여전한 우려임은 인정했다.

여기다 코로나19 재유행이 겹치면 대면업종 중심으로 살아나던 내수경기마저 다시 주저앉을 수 있고, 관련업종 고용 타격도 피하기 어렵다.

이에 정부가 지난달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한국경제 성장률 2.6% 전망치도 2% 초반까지 하향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추 부총리와 지난 16일(현지시간) 한 양자면담에서 "우크라 사태, 인플레이션 등으로 세계경제 전망이 4월 대비 한층 어두워졌다"며 "한국경제는 좋은 펀더멘털(기초여건)을 감안할 때 주요국 대비 둔화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와 관련 "현장 분위기를 볼 때 7월 발표될 IMF의 (한국) 성장 전망치도 4월에 비해 추가 하향조정될 것"이라고 봤다.

IMF는 지난 4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4%에서 3.6%로 낮추면서, 한국 전망치도 3.0%에서 2.5%로 내렸다.

미국 성장률 전망치도 하향 추세다. IMF는 4월 3.7%에서 지난달 2.9%로 전망치를 낮춘 데 이어 지난 12일(현지시간)엔 미국과 연례협의를 마친 뒤 2.3%로 0.6%p 더 내렸다.

강삼모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소비자물가가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데다, 미국이 '자이언트 스텝'을 넘어 금리를 1%p를 올릴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며 "한은이 앞으로도 금리를 올려야 하는데, 그러면 투자와 소비가 줄어드니 성장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성장률 전망치가 2% 초반대로 내려갈 거고, 앞으로도 내리는 작업이 계속될 것"이라고 봤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현실적으로 (2.6%) 달성이 쉽지 않고, 그렇다고 대규모 확장정책으로 무리하게 달성하려는 경우 물가상승 압력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다. 일부 경기부진은 불가피하다고 받아들이고, 물가안정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했다.

 

[Queen 김정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