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06:25 (수)
 실시간뉴스
전국민 국가재난지원금보다 서울시 하위계층 지원금 효과 커
전국민 국가재난지원금보다 서울시 하위계층 지원금 효과 커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1.05.03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4월 서울시내 한 동주민센터를 찾은 주민들이 재난긴급생활비 접수를 위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2020.4.16 (사진 뉴스1)
지난해 4월 서울시내 한 동주민센터를 찾은 주민들이 재난긴급생활비 접수를 위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2020.4.16 (사진 뉴스1)

 

정부가 전 국민에게 지급한 국가재난지원금보다 서울시가 소득 하위계층에게 지원한 재난긴급생활비의 소비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서울시복지재단의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에 대한 연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재난긴급생활비를 받은 서울시민은 소비가 약 12% 늘었다. 특히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인 경우 소비가 약 20% 증가해 효과가 컸다.

서울시는 지난해 4~5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타격을 입은 시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160만 가구에 5400억원을 지급했다.

재난긴급생활비로 늘어난 소득의 절반 이상(50.8%)이 소비로 이어졌다. 정부가 전 국민에게 지급한 국가재난지원금은 약 30% 정도가 소비로 이어졌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똑같이 100만원을 지원받은 경우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는 이 중 50만원이 소비로 이어졌지만 국가재난지원금은 30만원 정도가 소비로 이어진 셈이다. 늘어난 소득이 소비로 이어지는 비율이 높을수록 재정정책 효과도 커진다.

서울시는 "소득하위계층에게 지급된 재난긴급생활비의 소비효과가 국가재난지원금보다 크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봤다.

코로나19가 처음 확산하던 지난해 2~3월 저소득층은 미용·음식료품·식당·편의점 등 일상 소비를 줄였다. 재난긴급생활비를 지원한 이후 슈퍼마켓, 생활용품, 생활서비스 소비가 회복세를 보였다.

재난긴급생활비를 지원한 가구 중 48.6%는 월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였다. 수혜가구 절반 이상이 소득빈곤 상태였다. 지원가구 약 18%는 지난해 3~4월 월세가 밀렸고 약 20%는 공과금을 연체했다.

특히 재난긴급생활비 대상자 중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면서 소득이 불안정하고 가족 명의 집이 없는 '재난위기가구'는 약 16만8000가구로 추정된다.

서울시복지재단이 지난해 10월20일부터 11월20일까지 재난긴급생활비를 받은 서울시민 7221명에게 물어본 결과 약 88%가 긴급생활비가 가계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저소득가구가 지난해 재난긴급생활비를 통해 꼭 필요한 구매 활동을 할 수 있었다는 점은 불행 중 다행이었다"며 "앞으로도 보다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과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Queen 김정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