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0:35 (목)
 실시간뉴스
[EBS 명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 의심하라…고윤우 교수의 증상·치료법·예방법
[EBS 명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 의심하라…고윤우 교수의 증상·치료법·예방법
  • 이주영 기자
  • 승인 2021.06.11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윤우 교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 / EBS ‘명의’
고윤우 교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 / EBS ‘명의’

오늘(6월 11일, 금요일) EBS 명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 편에서는 두경부암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후유증 관리 방법 등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명의와 함께 알아본다.

피곤할 때 혀에 돋는 혓바늘, 알고 보면 혀를 잘라내야 하는 암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목소리가 쉬거나, 목이 붓고, 목에 혹이 생긴다면 그것은 어쩌면 두경부암의 신호인지도 모른다.

‘두경부’란, 머리에서 목에 이르는 기관 중 뇌와 눈을 제외한 모든 기관을 말한다. 숨을 쉬고, 먹고, 말을 하는 기능을 하는 코와, 입과, 목. 그곳에서 생기는 모든 암을 ‘두경부암’이라 한다. 후두암, 구강암, 편도암를 비롯한 구인두암, 비인두암이 대표적이다.

두경부암은 초기일 경우 뚜렷한 증상이 없다. 증상이 생긴다 해도, 입안에 생기는 궤양이나 부종, 목소리 변화나 목에 잡히는 멍울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런 증상은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병원 진료를 미루곤 한다. 그래서 더 빨리 발견하기 어려운 암, 그것이 바로 ‘두경부암’이다.

두경부암은 그리 흔한 암은 아니다. 하지만 환자 수는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의하면 2015년 19,856명이던 환자가 2019년 23,691명으로 늘어났다. 최근 5년 간 환자 수가 20%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EBS 명의 <목에 잡힌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 편에서는 고윤우 연세대학교 이비인후과 교수와 함께 그냥 지나치기 쉬운 두경부암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예방법을 알아본다.

고윤우 교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 / EBS ‘명의’
고윤우 교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 / EBS ‘명의’

◆ 혓바늘인 줄 알았는데 암이라고?

30대의 최 씨. 입에 돋은 혓바늘 때문에 통증이 심했다. 혓바늘은 4주 이상 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별 대수롭지 않게 여겼고, 동네 병원에서 진통제만 처방 받으며 일상생활을 했다. 그런데... 그것은 뜻밖에 암이었다. 구강암의 일종인 혀암. 심지어 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였다.

입에 생기는 궤양이나, 음식을 삼킬 때 느껴지는 이물감, 그리고 목소리의 변화, 목의 통증 등 구강암을 비롯한 두경부암의 증상은 무척 다양하다. 하지만 그 중에 공통적인 증상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목에 생기는 혹이다. 두경부암의 경우 주로 목에 있는 림프절로 전이되기 때문에, 병이 진행되면 목에 멍울이 잡히기 시작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혹은 통증이 없다. 그래서 방치하기 쉽다.

너무나 사소해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두경부암의 증상. 과연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까?

◆ 자궁경부암 원인으로 알려진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편도암을 일으킨다?

두경부암의 대표적인 원인은 음주와 흡연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주목받고 있는 또 하나의 원인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인유두종바이러스’다.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동시에 편도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두경부 중에서 음식이 내려가는 통로인 ‘구인두’에 생기는 암인 편도암. 전체 편도암 환자의 60~70%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인유두종바이러스로 인한 자궁경부암의 발생률보다 편도암의 발생률이 더 높아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기도 했다. 그렇다면 과연 인유두종바이러스를 막는 방법은 없는 걸까? 또 인유두종바이러스로 인한 편도암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 잃어버린 목소리, 되찾을 수 있을까?

담배를 20년 가까이 피워온 50대 박 씨. 어느날 목소리가 쉬고 기침이 나기 시작했다. 박씨는 감기를 의심했다. 하지만 증상은 사라지지 않았고, 뜻밖에 ‘후두암’ 진단을 받았다. 후두암은 두경부암 중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암이다. 후두의 대표적인 기능은 목소리를 내게 해주는 것이다.

때문에 후두에 암이 생겨 후두를 절제하면, 목소리를 잃을 수 있다. 후두를 부분적으로 절제한다 해도, 수술 직후엔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다.

후두암 뿐 아니라, 다른 두경부암 또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입, 코, 목 등을 수술하다 보니, 먹고 말 하는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다. 생명을 위협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두경부암. 과연 어떻게 하면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을까?

EBS 명의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에서는 두경부암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후유증 관리 방법까지 ‘두경부암’에 대처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명의와 함께 알아본다.

각 분야 최고의 닥터들이 환자와 질병을 대하는 치열한 노력과 질병에 대한 정보, 해당 질환에 대한 통찰력을 미디어를 통해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들려주어 건강한 개인,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 EBS 1TV ‘명의’는 매주 금요일 오후 9시 50분에 방송된다.

[Queen 이주영 기자] 사진 = EBS ‘명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