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7:55 (금)
 실시간뉴스
인천 소청도서 멸종위기종 벌매 8천여마리 이동 확인…관측 사상 최대
인천 소청도서 멸종위기종 벌매 8천여마리 이동 확인…관측 사상 최대
  • 이광희 기자
  • 승인 2021.11.09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올가을 소청도 맹금류 이동조사
맹금류 18종 1만545마리 소청도 거쳐 이동 확인
벌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벌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가을 소청도(인천 옹진군 소재)에서 맹금류 이동조사를 수행한 결과,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인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벌매’ 8,497마리의 이동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맹금류인 벌매는 전국 전역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에서 볼 수 있는 수리과 조류로 봄과 가을에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인 맹금류는 매과, 수리과, 올빼미과 등의 육식성 조류로 국내에는 50종이 살고 있다. 이 중 21종이 멸종위기 야생생물(I급 4종, II급 17종)로 지정되어 있다.

21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I급 4종은 검독수리, 매, 참수리, 흰꼬리수리 △II급 17종은 긴점박이올빼미, 독수리, 물수리, 벌매, 붉은배새매, 새매, 새호리기, 솔개, 수리부엉이, 알락개구리매, 올빼미, 잿빛개구리매, 조롱이, 참매, 큰말똥가리, 항라머리검독수리, 흰죽지수리 등이다.

이번 소청도 조사에서는 벌매 8,497마리 등 총 18종 1만 545마리의 맹금류가 소청도를 거쳐 이동한 것이 확인됐다.

△I급 2종은 매, 흰꼬리수리 △II급 10종은 새호리기, 물수리, 벌매, 솔개, 알락개구리매, 붉은배새매, 조롱이, 새매, 참매, 항라머리검독수리 △기타 6종은 황조롱이, 비둘기조롱이, 쇠황조롱이, 개구리매, 왕새매, 말똥가리이다.

소청도 상공을 비행하는 맹금류 무리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소청도 상공을 비행하는 맹금류 무리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이번 조사 결과는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가 2019년부터 소청도에서 맹금류 조사를 수행한 이후, 역대 최대 수가 관측된 것이며, 특히 벌매의 집단 이동은 국내 최대 이동 기록이다.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소청도에서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한 2019년부터 매년 가을 맹금류 이동을 조사하고 있으며,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3,425마리(벌매 1,466마리)와 각각 2,293마리(벌매 951마리)를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소청도 조사에서 확인된 총 18종 1만 545마리의 맹금류 중 벌매가 8,497마리(80.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말똥가리 527마리(5%), 새호리기 406마리(3.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맹금류의 전체 마릿수는 9월 10일 첫 조사에 79마리가 관찰된 것을 시작으로 9월 26일에 2천 32마리로 크게 증가했고, 다음 날인 9월 27일에 2,286마리로 가장 많은 수의 개체가 확인됐다.

종별로 이동 시기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벌매는 9월 10일 첫 이동이 확인된 이후, 27일 하루 최대 무리(2,245마리)가 확인됐고, 10월 14일에 마지막으로 관찰됐다. 말똥가리는 벌매보다 늦은 10월 1일 첫 이동이 확인됐고, 10월 12일에 하루 최대 무리(273마리)가 관찰된 후, 10월 28일에 마지막으로 확인됐다.

시간대별로 오후 12시부터 3시 사이에 가장 많은 수가 이동했으며, 이 시간대에 전체의 절반 이상(약 58%)이 관찰됐다. 벌매는 오후 1시~2시경에 가장 많은 수(30%)가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철새연구센터 연구진은 올해 소청도에서 지난해보다 벌매가 약 9배 이상 관찰된 이유에 대해 번식지의 상황이 좋아지고 올가을 소청도의 기상 조건이 상승기류를 타는 맹금류의 이동에 유리하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관측된 개체수가 늘어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벌매가 주로 번식하는 중국, 몽골, 러시아 등 주변 국가와 정보를 공유하고 장기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국가철새연구센터가 위치한 옹진군 소청도는 벌매의 국내 최대 이동지역이며 장거리를 이동하는 맹금류 조사에 최적의 장소이다”라며, “지속적인 조사와 생태 연구를 통해 멸종위기에 처한 맹금류의 보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Queen 이광희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