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04:35 (금)
 실시간뉴스
미래·NH·키움·하나, '내손안의 금융비서' 마이데이터 시범사업 시작
미래·NH·키움·하나, '내손안의 금융비서' 마이데이터 시범사업 시작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1.12.08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금융투자가 12월부터 '내손안의 금융비서'로 불리는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기존 금융회사나 빅테크 기업, 관공서, 병원 등에 흩어진 개인신용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추천·개발할 수 있는 사업이다. 이용자들은 한눈에 금융활동 내역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사들로부터 다양한 맞춤형 재테크 추천 등을 받는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안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증권사들은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자리잡으면 최근 수수료 경쟁이나 각종 이벤트로 움직임이 잦은 이용자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추가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만큼 고객 선점에 열을 올리고 있다. 다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아직 관련 서비스가 많지 않아 '미숙하다'는 느낌을 떨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으로부터 마이데이터 본허가를 받은 증권사는 총 6곳(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KB증권)이다. 이중 한투증권와 KB증권은 내년 1월 공식 서비스 시작 시점에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미래에셋, NH투증, 키움, 하나금투는 마이데이터 선점을 위해 이달부터 시범서비스에 돌입한 상태다. 현대차증권, 교보증권, 신한금융투자는 아직 예비허가 단계에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올인원 투자진단보고서'를 콘셉트로 한 닥터빅(Dr.Big) 투자진단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여러 증권사에 흩어진 보유 종목을 한 눈에 확인하고 고객의 투자패턴과 성과를 분석해 '투자고수'들과 비교한 뒤 비중변화 트렌드를 제공한다.

키움증권도 효율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패턴 및 포트폴리오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며 투자내역을 '일기'처럼 자동으로 일지화하는 서비스를 내놨다. 개인고객이 가장 많은 증권사라는 장점을 활용해 빅데이터화된 타 개인투자자들의 투자현황과 비교해 성과를 진단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NH투자증권과 하나금융투자도 연금투자 및 고객 데이터 기반 투자 노하우, 생애주기 서비스 및 주식연계형(배당투자 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다만 아직 4개 증권사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시범서비스' 수준에 그치고 있다. 마이데이터 시범서비스 첫날이었던 지난 1일 일부 증권사에선 송수신 데이터 오류로 인해 가입자체가 되지 않는 등 시스템 안정성부터 불합격이었다. 

또 실제 투자자들이 알고 싶은 것은 내 자산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컨설팅인데, 이를 진단하기 위한 문항들은 단순 설문 정도에 그쳐 실제 자산내역 진단이나 투자성향을 분석하는데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적요정보'(필요 정보의 표출)에 대한 금융사간 협의 및 계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인데다 이용자들에게 관련 설명도 없이 단순하게 '선택정보'로만 분류해 놔 실제 이용자들이 기대하는 '한눈에 자산(결제)내역 파악'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등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한 데이터 개발 전문가는 "당국이 인가한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기존의 단순 스크래핑(공개된 정보를 긁어오는 방식)과 함께 API(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개발·운영단계에서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통로)를 적용하는 방식인데 시범서비스 초기에 API 연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데이터 송수신이 끊기고 서버 용량이 부족해 발생한 운영 미숙이 곳곳에서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일부 서비스는 API 개발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여전히 스크래핑 중심으로만 데이터를 받아오기 때문에 마이데이터는 커녕 기존 핀테크 플랫폼만도 못한 수준미달 형태가 눈에 띄었다"고 평가했다. 

금융권에서도 "이용자 관점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서비스를 개발했다기보다 당국의 '가이드라인'에만 맞춰 개발하면서 이용자의 편의성을 간과한 부분들이 다소 있어 여전히 '공급자 중심'의 마인드가 엿보였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Queen 김정현 기자] 사진 뉴스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