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5-14 23:55 (화)
 실시간뉴스
전국 입주율 71.5%, 전월비 2.8%↑... 서울 입주율은 하락
전국 입주율 71.5%, 전월비 2.8%↑... 서울 입주율은 하락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3.09.12 11: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의 주택사업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8월 전국 입주율은 71.5%로 전월 대비 2.8%p 상승한 것으로 12일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82.0%에서 81.1%로 0.9%p 하락한 반면, 비수도권인 5대 광역시는 67.6%에서 68.3%로 0.7%p, 기타지역은 64.6%에서 70.3%로 5.7%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비수도권은 올해 가장 높은 입주율을 보였다.

수도권 중 서울은 4.2%p(89.5→85.3) 하락한 반면 인천·경기권은 2023년 3월(72.4%) 이후로 꾸준히 상승하여 올해 최고치(79.1%)를 기록했다. 서울은 양호한 매매가격이 나타나면서 전년대비 분양물량이 증가하고 청약경쟁률이 높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매매거래량 감소와 매물이 누적되면서 입주율이 주춤했다. 반면 인천·경기권은 아파트 거래량 및 매매가격 상승지역 확대 등에 따라 입주율이 상승했다.

비수도권은 지난 6월 60.4%로 2018년 6월 이래로 역대 최저 입주율을 기록했지만 7월과 8월에 연속 상승(6월 60.4%→7월 65.9%→8월 69.5)하면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 비수도권 중 강원권의 1.3%p(63.3→62.0) 하락을 제외한 모든 권역은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이 비수도권으로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동산 시장 회복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비수도권 입주율은 여전히 2022년 상반기 이전(2020~2022.상반기 평균 83.3)보다 낮은 60~70% 수준으로 가계부채 취약성과 PF 위기설 등이 완전히 해소되기 전까지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미입주 원인은 잔금대출 미확보(25.0%→9.8%)를 제외한 기존 주택매각지연(42.3%→45.1%), 세입자 미확보(21.2%→25.5%), 분양권 매도 지연(3.8%→13.7%) 모두 상승했다.

특히 분양권 매도 지연은 지난 7월 대비 9.9%p(7월 3.8%→8월 13.7%) 대폭 상승했는데 이는 분양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주택 수요자가 청약시장으로 집중되고 기존주택 매매거래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8월 대비 9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11.0p(84.6→95.6)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수도권은 12.6p(94.5→107.1) 상승, 광역시는 12.4p(85.0→97.4), 도지역은 9.4p(80.6→90.0)으로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대폭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100 이하로 내려가면 주택사업자들 사이에서 입주경기에 대한 긍정적 전망보다 부정적 전망이 많다는 의미다.

수도권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107.1로 2021년 7월(119.8)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9월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2021년 9월 이후 가장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주택사업자들은 실 입주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서울은 5개월째 상승했다. 비수도권 중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지난 8월 대비 상승해 개선됐다. 반면 제주는 2.8%p(75.0→72.2) 소폭 하락하면서 가장 낮은 입주전망을 보였다. 이는 현재 전국적인 미분양 물량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제주는 오히려 미분양 물량이 증가했으며 신규 물량 또한 추가적으로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파트 입주 전망지수는 2022년 4월(91.7) 이후 60~80선의 박스권 내에서 횡보를 보이다 9월 11.0p(84.6→95.6) 상승해 90을 돌파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소득 기준 및 대출 한도 완화, 특례보금자리론 등 자금조달이 용이해지고 아파트 미분양 물량 감소 및 청약시장 활성화, 9월 중 금융․인허가 관련 추가 부동산대책이 예견되면서 시장기대감이 좋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유가상승을 중심으로 한 물가 상승과 금리상승 가능성 등 여전히 불안요소가 남아있기 때문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산연은 설명했다.

 

[퀸 김정현 기자] 사진 주택산업연구원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